100세까지 코딩
[컴퓨터 구조] 레지스터 본문
혼공컴운 강의를 참고했습니다.
1. 레지스터
- CPU 내부의 작은 임시저장 장치
- 프로그램 카운터 : 메모리에서 가져올 명령어의 주소 (메모리에서 읽어 들일 명령어의 주소)
- 명령어 레지스터 : 해석할 명령어 (방금 메모리에서 읽어 들인 명령어)
-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: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
-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: 메모리와 주고받을 값 (데이터와 명령어)
2. 실행 순서

1. 프로그램 카운터 (1000번지)
↓
2.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(1000번지)
↓

3.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(data : 1101)
↓
4. 프로그램 카운터 1증가(1001번지)
↓
5. 명령어 레지스터 (data: 1101)
3. 레지스터2
- 플래그 레지스터 : 연산 결과 또는 CPU 상태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
- 범용 레지스터 : 다양하고 일반적인 상황에서 자유롭게 사
- 스택 포인터 : 스택의 꼭대기를 가리키는 레지스터 (스택 주소 지정 방식에서 사용)
- 베이스 레지스터 : 주소 지정에 사용
4. 특정 레지스터를 이용한 주소 지정 방식
1. 메모리에 주소를 명시한 방식
◆ 스택 주소 지정 방식
- 스택과 스택 포인터를 이용한 주소 지정 방식

◆ 변위 주소 지정 방식
- 오퍼랜드 필드의 값(변)과 특정 레지스터의 값을 더하여 유효 주소 얻는 방식
상대 주소 지정 방식 : 오퍼랜드 필드의 값 + 프로그램 카운터
베이스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: 오퍼랜드 필드의 값 + 베이스 레지스터

'CS > 컴퓨터 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 구조] 빠른 CPU 설계 (0) | 2024.02.21 |
---|---|
[컴퓨터 구조] 명령어 사이클과 인터럽트 (0) | 2024.02.19 |
[컴퓨터 구조] ALU와 제어장치 (0) | 2024.02.19 |
[컴퓨터 구조] 명령어 구조와 주소 지정 방식 (0) | 2024.02.19 |
[컴퓨터 구조] 컴파일 & 소스코드와 명령어 (0) | 2024.02.19 |